3. 사육목적별 계사형태와 특성
1) 육추 및 육성사
가) 설계시 고려사항
육추․육성사는 어린 병아리를 길러내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사항에 특히 유의하여야 합니다.
① 보온이 잘 되도록 한다.
벽, 천장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보온이 잘 되도록 한다.
② 환기에 유의한다.
보온에 신경을 쓰다 보면 환기가 잘 되지 않으므로 환기창과 환기시설을 설치한다.
③ 소독이 쉽도록 한다.
연중 육추를 하는 경우 충분한 소독이 가능하도록 한다.
④ 화재의 위험성이 없도록 한다.
병아리의 보온용 열원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내화성 자재를 이용한다.
⑤ 고양이, 족제비, 개 등이 육추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나) 육추사 설계의 예
육추사는 건축비를 적게 들이면서 건강하고 균일한 병아리를 육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육추사의 지역과 농장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설계의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육추사의 평면도 :
성계와 격리된 장소에서 육추를 하여야 하고 관리인이 항상 병아리와 같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리실, 육추실,
중추실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
② 육추사의 건축 예 :
육추사는 건축비를 적게 들이면서 건강하고 균일한 병아리를 육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육추사는 보온이 중요하기 때문에 남향으로 육추사를 건축할 경우 북쪽면은 창문을 적게 설치하고,
반대로 남쪽면에는 창문을 많이 설치하면서 창문밑에 환기구를 설치한다.
출입구는 동쪽에 설치하고 서쪽면에는 창문을 설치하고 육추사 출입구에 소독조를 설치한다.
한편 최근에는 4단 5열의 직립식 육추․육성사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2) 채란 계사
식용계란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채란용 계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크게 개방식 계사와 무창식 계사로 대별되며,
개방식 계사는 계분처리 방법에 따라 벨트식 계사, 스크레파식 계사, 고상식계사가 있으나 고상식 계사는 계분처리는 용이하나 겨울철 보온이 어렵고 건축비가 많이 드는 단점 때문에 거의 사라져 가고 있으며 스크레파식 계사와
벨트식 계사가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무창계사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직립식 케이지를 설치하여 1인당 관리수수를 되도록 많이 하도록 설계하고 있으며,
채란계사 건축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계사의 지붕
- 단열수치는 10~12(R벨류)이상으로 할 것
- 지붕의 경사도는 계사폭이 넓을수록, 고밀도 사육을 계획할수록 높게할 것
- 계사폭이 9m이내의 경우에 경사도 30%, 그 이상의 경우 지붕의 경사도를 35~40%로 하여야 모니터 환기창을 통한
자연환기가 증가됨.
- 모니터 환기창의 폭은 계사폭의 1/3수준으로 넓게하고, 환기창의 벽높이도 90㎝ 정도로 높게하여야 환풍기 없이도
자연환풍이 가능
② 계사의 벽
- 벽의 단열수치는 8.0(R밸류) 이상으로 할 것
- 벽의 높이는 급이시설 기계화를 고려하여 최소 2.4m 이상으로 할 것
계 사 폭 (m) | 7.3 | 9 | 1.2 |
벽 높 이 (m) | 2.4이상 | 2.7이상 | 3.0이상 |
- 개방계사의 경우 창문은 닭의 종류에 따라 50~70%까지 개방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윈치커텐을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임.
③ 건물의 길이
- 수당 기계화 비율을 줄이기 위하여 100m내외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100m이상은 기후 특성상
구동에 문제가 있을수 있어 주의 하여야 한다.
3) 육용 계사
육계는 대부분 바닥에 깔짚을 깔고 평사에 사육하지만 일부의 경우 육계 전용 직립식 케이지에 사육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평사형 육계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육계사 내부전경>
육계사는 외부건축 보다는 내부관리 시설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육계의 적정 사육밀도는 출하체중, 계절, 시설의 수준,
육계의 시장가격 등 경영적 측면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나친 밀사는 성장률을 저하시키고 폐사율 증가, 카니발리즘,
사료효율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사육밀도를 결정할 때 점등방법이나 급이면적, 급수면적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간헐 점등을 할 경우 밀사를 하면 불을 켰을 때 일시에 사료를 먹으려고 급이기에 몰리기 때문에 사료를 못먹는
병아리가 생겨 균일도가 떨어지고 사육성적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급이기나 급수기의 숫자를 늘려 주어야 합니다.
24시간 점등을 할 경우에도 급이 면적이나 급수면적이 적을 경우 증체나 사료효율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적당한
면적을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4) 종계사
종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암탉과 수탉을 같이 사육해야 하는 종계사의 경우 산란 상을 갖춘 깔짚계사나 틈바닥(슬랏)계사가
많으나 단위면적당 사육수수를 늘리고 시설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케이지에 사육하는 경우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인공수정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암수 혼사형 직립식 군사 케이지를 도입하여 종계 사양관리를
생력화 및 자동화 하는 경우도 있으며 자동난상을 갖춘 종계사들도 많이 있습니다.
4. 닭의 관리기구
가. 케이지
케이지는 닭의 운동을 제한하여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좁은 계사에서 많은 수를 기르는 동시에 자동화하여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초생추용, 중추용, 대추용, 산란계용, 육계용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케이지와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케이지의 규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폭×깊이 (cm) |
수용수수 (수) |
수당생활면적 (㎠) |
수당급이 면적 (㎝) |
비 고 |
한국 | 27.2×35.0 (9치케이지) |
2 3 |
477 318 |
13.6 9.0 |
높이 40cm |
미국 | 30.5×45.7 |
3 4 |
464 348 |
10.1 7.6 |
|
30.5×50.8 |
3 4 5 |
516 387 309 |
10.1 7.6 6.1 |
deep 케이지 | |
50.5×30.5 30.5×41.0 |
4 3 4 |
387 416 312 |
12.7 10.1 7.6 |
Sallow | |
일본 | 33.0×40.0 24.0×40.0 |
3 2 |
440 480 |
11.0 12.0 |
3단 A형 3,4단 A형 |
유럽 | 50.0×51.5 50.0×46.8 |
5 5 6 |
515 468 390 |
10.0 10.0 8.3 |
직립식케이지 전면고 45cm |
40.0×42.0 51.0×45.0 49.0×50.0 |
4 5 5 |
420 459 490 |
10.0 10.2 9.8 |
직립식케이지 전면고 43cm |
케이지의 배열은 A형 케이지와 직립형 케이지로 나누어 지는데 직립식 케이지는 4단 4열, 3단4열, 3단2열등의 배치법이
있으며 사육 밀도가 높을수록 여름철에 환기 불량의 우려는 있으나 겨울철에 보온이 쉽습니다.
한편 직립식 케이지는 주로 무창형 계사 이용되며 우리나라에서는 4단~6단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배열 및 배치 방법은 계사 형태 및 케이지 제조 회사에 따라 다르므로 설치에 주의 하여야 합니다.
2. 급이기
닭의 급이기(feeder)는 케이지용과 평사용이 있으며 닭의 사육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닭의 사양관리시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료급이는 대부분의 계사에서 자동화가 되어 있어
기계적으로 급이가 되고 있습니다.
사료급이기는 빠른 시간에 사료 공급이 이루어져 신선한 사료를 동일계사의 닭이 동시에
사료섭취를 할 수 있어야하고 사료성분의 분리현상, 사료허실이 없어야 합니다.
급이기의 종류는 디스크식, 호퍼식, 링크체인식, 휀형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는데
종류별 급이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케이지용 급이기
① 디스크식 급이기
디스크콘베어 방식의 급이기로서 원형티스크 사용으로 부하량이 작아 작동이 원활하며 급이시간이 빨라
진행쪽과 끝나는 쪽의 사료섭취량이 같습니다.
사료허실을 방지하고 사료 효율을 좋게 하며 다수의 코너를 설치할 수 있어 자유롭게 방향 조절을 할수 있습니다.
② 호퍼식 급이기
산란계에 주로 이용하며 기존 케이지계사의 플라스틱 급이기를 개조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사료의 정체나 부패를 막기 위하여 1일 2~3회 저어 주어야 합니다.
최근에는 센서가 부착되어 급이시에 사료를 저어주는 장치가 있으며 타이머에 의하여 1일 8회까지 급여하는 농가도 있습니다.
③ 링크 체인식 급이기
산란계와 육계 동시 이용이 가능하며 닭에게 사료를 고르게 급여하면서 사료를 골라먹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1일 1수당 사료섭취량은 호퍼식 급이기보다 절감되며 계란 1 ㎏생산에 소요되는 사료섭취량도 호퍼식보다 감소됩니다.
④) 평사용 휀형 급이기
휀형 급이기는 평사에 사육하는 육계와 종계용 급이기로서 반원형의 휀에 오거나 디스크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료의 양과 사료급여횟수는 중앙제어장치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 없으며 사료허실이 적습니다.
2) 평사용 급이기
프라스틱 원통형급이기와 휀형 자동급이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원통형 급이기는 종계나 재래닭등에서 많이 이용되며,
휀형 급이기는 평사에 사육하는 육계와 종계에서 주로 이용됩니다.
휀형 급이기는 반원형의 휀에 오거나 디스크를 통하여 사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료의 양과 사료급여횟수는
중앙제어장치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 없으며 사료허실이 적습니다.

<육계용 휀형 급이기 설치장면>
3) 자동급이기 사용상의 유의사항
㉮ 사료량 조절
사료의 급이량은 대부분 부피를 기준으로 하는데 사료입자의 분쇄정도에 따라 부피의 차이가 생기고 기온의 변화에 따라 사료섭취량이 변하므로 기온에 따른 사료량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작은 양이 남거나 부족하지만 누적되면 많은 양이 됩니다.
㉯ 급이상태 확인
한쪽 모터가 고장이 났거나 사료가 덩어리져 구멍이 막히거나 이물질이 들어가 막게 되면 한쪽은 계속 급이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산란율이 급감하거나 폐사가 급격히 증가하여 그때서야 급이기의 고장을 발견할 수도 있으므로 매일 급이기의 이상유무와 급이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 사료분리현상
계사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급이하는 동안 영양성분이 분리되어 급이 전반부와 후반부의 영양성분의 함량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급이속도가 느리면 편식이 더 일어나지만 사료분리는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속도가 빠르면 편식은 감소되지만 사료분리가 증가하는데 특히 산란계 사료에는 칼슘과 같은 굵은 입자가 쓰이기 때문에 그 현상이 더욱 뚜렷합니다.
3. 급수기
급수기는 물의 상태와 급수기의 종류에 따라 닭의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급수량이 부족하거나 급이면적이 부족할 경우 고온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데 급수기 종류 별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니플 급수기>


<종형 급수기> <일자형 급수기>
-각종 급수기 형태-
① 니플형 급수기
산란계와 육계 모두 사용하며 물을 통한 질병의 수평감염을 차단하고 사료허실을 줄일 수 있으며 청소할 필요가 없습니다. 깔짚계사의 경우 물이 바닥에 떨어져 깔질이 질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좋은 깔짚상태를 유지하므로 암모니아가스 등의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② 종형급수기
육계용과 종계용이 있고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급수기입니다. 닭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충분한 량의 물을 급여할 수 있지만 닭이 옆을 지나다가 건드리거나 수평이 맞지 않으면 바닥이 누수되어 깔짚을 질게 만듭니다.
또한 물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질병을 수평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
③ 일자형 급수기
일자형 급수기 또는 팔자형 급수기라고 하며 육계농장에서 많이 이용합니다. 설치가 용이하고 충분한 양의 물을 급여할 수 있지만 수평을 잘못 맞추거나 부딫히면 누수가 되어 깔짚을 질게 만듭니다. 닭이 물과 사료를 먹을 때 사료가 닭 부리에 묻혀 나와 유실되어 부패하게 되어 비위생적입니다.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닭 출하 후 청소하기 쉬우며 설치비가 적게 듭니다.
4. 집란 및 선란 장치
생산된 계란을 케이지로부터 집란실로 이동하면서 중량에 따라 계란을 분류하는 기구로 계사내 작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 자동화 설비가 되어 있습니다.

-자동선란장치-
'농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양]채란계 사양관리 프로그램의 원리(1) - 공기 (1) | 2023.12.23 |
---|---|
우분, 돈분, 계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2) | 2023.12.23 |
계사의 종류와 특징 (2) | 2023.12.23 |
닭이야기 : 하림그룹 팜스코 인도네시아 진출 관련 기사 (2) | 2023.12.20 |
계약재배약정서 (1)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