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이야기

닭이야기 : 산란계 종류3

산란계의 라이프 싸이클
산란계의 라이프 싸이클을 살펴보면,

 

16주령이 되면 육성농장에서 산란농장으로 이동을 한다.

 

18주령부터 점등자극을 통하여 성성숙을 유도하며

 

대략 20주령(140일) 전후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이후에 산란율은 주령이 증가 할수록 서서히 증가하여

 

30주령 전후의 기간에 산란피크의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게 된다. 산란피크 기간을 거치며 산란율은 서서히 하향곡선을 유지하며 52주령(1년)까지 품질 좋은 계란을 많이 생산한다.

 

52주령이후 산란수량의 기울기가 좀더 증가하며

약 65주령이 되면 품질과 수량이 많이 저하되어 경제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65주령이후에 햇닭으로 교체를 하던지 아니면 강제환우를 실시하게 된다. 

 

강제환우
강제환우란 닭에게 인위적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여 털갈이가 이루어 지도록 한 이후에 일정기간 동안을 휴산하며 휴식기를 가지도록 하여 새로운 산란주기가 시작되도록 유도 하는것을 말한다. 강제환우를 마친 산란계들은 저하되었던 산란율이 상승하여 일정기간동안 경제성을 회복하게 된다. 통상 절식,절수등의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주고 털갈이를 유도하며 전체기간은 약 50~60일 정도가 소요된다. 강제환우후 산란율과 생산성등을 살펴 약 105주령 이후에 폐계로 최종 도태를 실시한다. 한우후 산란율은 환우전 대비 85~90% 정도이며 난중이 좀더 무거워지고 품질도 떨어지는 편이다. 난각이 두꺼워지고 치밀해지며 수정율,부화율이 상승하는 장점도 있다. 강제환우 실시 여부는 햇닭으로 교체비용, 환우에 소요되는 비용, 시중의 달걀 가격,폐계의 가격, 닭들의 건강상태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폐계는 가축사료가공, 소세지 생산공장등으로 납품되기도 하고 동남아시아로 수출도 이루어진다. 특히 베트남은 매우 질긴 닭고기 맛을 즐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산란노계, 원종계와 종계의 노계들의 집합장소라고
할정도로 노계,퇴계의 주요 소비국가이다. 

 


동기휴산성
동기휴산성(冬期休産性)이란 11월부 다음해 3월에 이르기까지 연속 4일 또는 7일 이상 산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겨울이 되어 환경온도의 하락과 일조량의 부족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환경온도
가 하락하게 되면 사료섭취를 통해 얻은 에너지를 산란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환우와 잔털성장, 체온보호를 위해 체내 지방축적, 체온상승을 위해 대사율 증진을 위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일조량이 부족하게
되면 성호르몬 분비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산란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산란율을 일정수준으로 유지 하기 위해서는 방풍,보온작업을 실시하여 사육환경온도를 올려주어야 한다. 사료는 열량이 높은
곡류를 다량 급이하여 길어진 밤 사이 공복감을 없애주는 동시에 추위로 인한 체력저하 현상을 막아주어야 한다. 아울러 야간 점등을 일정시간 실시하여 부족한 일조량을 보충해주어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
켜주어야 한다.

 


초산일령과 시산일령
초산일령((初産日齡)이란 시산(始産) 한 후 계군의 산란율이 50% 이상을 연속하여 낳은 두 번째 날을 말하며 50% 산란일령 또는 성성숙일령(性成熟日齡) 이라고도 한다. 시산(始産)이란 한 계군을 길러 처음으
로 산란을 시작한 것을 이야기 하는데 이를 초산이라 하지 않는다. 이날을 초산일령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아직도 알을 낳지 않은 닭이 더 많기 때문이다. 50% 산란일령을 초산일령으로 보는 것는 동시에 부
화되었다 할지라도 처음 알을 낳는 일시가 서로 다르므로 아직도 알을 낳지 않고 있는 닭이 50%라고 간주하여 계군 평균 초산일령을 산란율 50%일때로 보는 것이다.

 


산란지수 (헨데이산란수 & 헨하우스산란수)
산란능력이란 산란계로서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최초로 알을 낳고서 부터 1년간의 산란수로 나타내나 부화일이 동일하여도 초산 일시가 서로 다르므로 부화일로부터 일정기간의 산란수, 알의 무게등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핸데이산란수, 헨하우스산란수, 산란량등이 있다. 

 

헨데이산란수(Hen-day egg production)는

일정기간내의 매일 생존 암탉 총수수로 그 기간의 총산란수를 나누어 얻은 값이다. 예를 들어 금일 산란수가 965개, 닭 수수 1000수일때 헨데이산란수는 0.965개이다. 90주령 헨데이산란수란 90주령까지 누적수치를 말한다. 참고로 하이라인 브라운의 90주령 헨데이산란수는 419-432개 이다. 

 


헨하우스산란수(Hen-housed egg production)란 

일정기간 내의 총산란수를 그 기간의 최초의 입식 닭마리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189일령인 금일 산란수가 965개이고 금일 생존 암탉 총수수가 1000 마리이나 120일령 수수가 1005 마리이면 헨데이산란수는 0.965 이나 헨하우스산란수는 0.96개가 된다. 헨데이산란수은 폐사율을 고려하지 않은 산란지수이고 헨하우스산란수는 폐사율을 고려하고 있기에 산란능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존력, 강건성등이 간접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더 많이 이용된다. 산란을 잘 하지만 폐사율이 높다면 수익 좋은 닭이 못된다. 그러므로 산란수 계산을 매일 살아있는 닭수 수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첫 입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이를 누적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이런 산란지수들은 특정 기간동안에 1수당 평균산란수를 산출하여 산란능력을 평가 하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