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란계 사양관리 프로그램의 원리(2)투입항목 2 – 물(水)투입항목 1. 공기의 품질」에서, 주위에 있는 깨끗한 공기를 충분히 마시면 그뿐인 공기가 닭의 생산성과 수 익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했듯이 「투입항목 2. 물의 기능」도 깨끗한 물 이상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농장 실무에서는 지하수의 좋은 수질을 얻는 것 이상으로 급수기의 선택, 급수기의 사용관리요령이 중요하다. (1) 물의 기능깨끗한 물은 사료와 함께 최고 산란에 필요하다. 모든 동물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2가지는 산소 와 물이다. 1주령 병아리 체내에는 85%의 수분을 함유 하나 42주령으로 자라면 55% 수준으로 감소한다. 계란 한 개의 수분 함량은 약 65% 이다. 물은 체내의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용매의 기능을 하며 흡수 된 영양소를 몸의 각처로 수송하고 배설하는 역할을 한 다. 증발의 능력이 있어 체온 조절을 하며 환경온도가 30℃ 이상으로 올라가면 성계는 체온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개구호흡(Panting)을 증가하여 폐에서 더욱 많은 열과 수분 발산을 도모하게 된다. (2) 사료섭취량과 적정 음수량초생추는 제 1일에 수당 83cc 이상을 섭취하여야 한 다(HLB). 대개 사료섭취량의 1.8배(1.6~2.0배, 기온 이 26℃로 오르면 음수량은 1.8 이상이 되고 30℃ 이상 의 기온에선 음수량은 2.5배까지 증가한다. 체중에 따라 다르다)의 물을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공기 온도가 높아질수록 닭은 더 많은 음수를 하여 연변을 배설하게 된다. 1) 음수량과 사료효율음수량은 사료 소화율에도 영향을 준다. 음수량이 너 무 많으면 소화액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사료가 소화기관 을 빠르게 통과시켜 소화율, 사료효율을 저하시킨다. 반 대로 물을 너무 적게 먹으면 사료효율 저하, 성장저하로 이어지고 음식물의 소화를 지연시키며, 심하면 탈수로 인한 체중감소, 폐사로 이어지며, 질소, 나트륨, 칼륨 등 전해질의 배설이 증가하여 정상적 생리작용에 영향을 준다. 적정 음수량에서 20% 부족시 산란이 저하하고 48시간 단수시 산란이 중단된다.관리자는 매일의 계분상태를 보고 최적의 음수상태를 관찰하게 된다. 배설한 계분의 형태가 밑에는 건조한 또아리 형태를 유지하면서 위에는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 정도가 음수가 잘 된 정상변이라 할 수 있다. 즉 분변이너무 건조해도 또는 너무 묽어도 소화율에 적합하지 못하므로 분변을 보고 적정 음수량을 판단한다. 관리자가 제한급수를 실시할 때에는 계분의 상태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연변의 계분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서서히 제한급 수를 높여갈 수 있다. 그러나 제한급수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량이 감소하므로 사료섭취량에 유의한다. 2) 적정 음수량표20년 전 발간된 책자의 음수량표가 현대 육계와 너무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성장이 빨라진 육계는 사료섭취량도 더 많아졌고 따라서 적정 음수량도 더욱 많 아졌기 때문이다(표1). 3) 물의 온도10∼14℃면 적합하다. 5℃ 이하면 너무 낮고, 30℃ 이상이면 닭의 음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44℃ 이상 의 물은 닭이 기피한다. 초생추용 물 온도는 20℃ 이상 이 좋으나 세균번식을 유의해야한다(그림1). 4) 수사비(水飼比)음수량대 사료섭취량비를 수사비(water feed rati- o)라 이름 붙여보았다. 대개 갈색 산란계의 수사비는 1.65~1.70일 때 산란, 난중, 계분상태, 소화효율에 좋 고 육계는 수사비가 1.8이면 무난하다. 농장 시작시 급 수시스템을 설계할 때에는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설계하 나 20% 여분의 급수기, 음수량을 더 계상하는 것이 현 명하다. (3) 양계용 수질(水質)의 영향수질은 세균오염도를 표시하는 총세균수, 폐수오염을 표시하는 질산염과 유기물 함량, 광물질 함유량을 표시 하는 pH, 총경도, 각 광물질 함량으로 표시된다. 즉 계 분으로 수원(水源)이 오염되면 질산성 질소가 높아지고 철분함량이 높으면 철분 선호미생물의 증식으로 위생에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석회 Ca성분이 높으면 급수시스 템의 모든 기기들을 막아 고장을 일으키므로 먼저 물탱 크에서 석회를 침전시킨 후에 40~50미크론필터에 여과 하여 사용한다.닭을 출하하고 나면 급수기를 점검하여 수리하여야 하고 수질을 검사하여 수질의 오염진행 상태를 확인한다.1) 바이오필름(biofilm ; 미생물막)의 생성세균은 크기가 작아서 유속에 의하여 밖으로 흘러나갈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하여 물에 운반되어오는 영양소를 취할 수 있는 장소의 표면에 그들을 고정시키 는 다당류의 접착제를 분비한다. 이를 바이오필름이라고 하는데 이 바이오필름은 물의 흐름으로부터 안전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세균을 둘러싸고 있으며 세균의 성장을 보 호하는 동시에 염소 또는 4가 암모늄과 같은 소독제로 부터 세균을 보호한다. 저수탱크와 급수관이 세균에 오 염되어 있으면 계군의 세균오염은 꾸준히 반복되는데 만 일 살모넬라, 대장균, 포도상구균이라면 닭들의 건강은 끊임없이 위협받을 것이다. 배수관내의 세균성장은 겨울 보다 더운 여름에 훨씬 빠르고 특히 육추사에서 빠르게 증식한다. 2) 바이오필름의 제거닭이 사육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바이오필름을 제거하 기 위해 겨울 산란계는 1개월에 한번씩, 여름에는 1주 일에 한 번씩 수도관내용물을 고압공기나 고압수로 불어내야 한다. 원수(原水)의 수질이 나쁠 때에는 매주 불어 낸다. 항생제나 비타민제를 음수에 투여하였을 때에는 다음날 수도관을 불어내어야 한다. 음수를 소독하여 먹 이고자 할 때에는 물의 pH가 6~7일 때 염소를 4~6 ppm의 농도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급수관 내의 바이오필름을 파괴하고자 할 때, 닭을 출 하하고 급수관을 소독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고압공기나 고압수로 내용물을 사외로 배수한 다음 과산화수소(35%)제품을 물 4ℓ당 820g, 혹은 구연산 820g을 용해하여 수도관내로 투입하여 6시간정도 두었다가 불어낸다. 바이오필름 제거에는 과산화수소가 가장 효과적이다. (4) 여러 종류의 급수기1) 개방급수체계(종형 급수기, 컵모양 급수기) 전통적 평사 급수체계이었다.종형급수기의 물높이를자동으로 유지하기 위해 용수철장치를 내장했고 물이 종 의 상부구멍에서 흘러내리므로 물은 계사 내 먼지로 오 염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육계 80수당 종형급수기 1개 를 설치한다.급수기 높이가 중요하다. 닭은 연구개가 없어 부리를 몸의 위치보다 낮게 하여 물을 흡입할 수 없으므로, 급수기를 부리보다 높은 위치에 두고, 부리로 물을 흘려 넣어 중력에 의하여 물을 소낭내로 이동시켜 음수하므로 물높이가 낮으면 안 된다. 평사 물통에서는 항상 수위 (水位)가 닭의 등높이와 맞게 유지한다. 더 낮으면 닭이 물장난을 치고, 오염증가, 과도음수, 자리깃 과습을 초 래, 콕시듐 원충의 번식을 증가시킨다(그림2). 그러나 충분한 물을 공급, 성장을 높일 수 있어 평사급수기로 개발되어 왔다.물 깊이에도 유의한다. 초생추 때에는 물통 턱(lip)에 서 0.5cm 아래 있어야 좋고, 7일령 이후에는 1.25cm 밑에 위치시킨다. 물 깊이는 손톱 깊이면 좋다. 평사의 종형급수기 주위에는 음수시 물을 흘려 자리깃이 습하여 지고 콕시듐원충이 번식하므로 자주 체크하여 마른 자리 깃으로 교체해 주어야한다. 그러나 급수기 밑의 자리깃 상태가 너무 건조하고 좋다면 수압이 너무 낮지 않은지 를 의심해야한다.수압조절용 스탠드 파이프를 설치했을 경우 물 높이를 5cm 정도에 맞춘다. 급수파이프라인에 수량계, 급수필터, 음수투약기 등이 연결되는데 흔히 파이프 직경을 줄 여 유량흐름의 병목현상을 초래하지 않는지 항상 유의한다. 급수필터의 앞뒤에는수압게이지를 설치하고 그 전 후 수압차이를 점검하여 필터 청결관리를 하게 된다. 2) 폐쇄급수체계(니플급수기)수원(水源)에서 닭이 먹기까지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급수시스템을 폐쇄급수시스템(closed water system)이라 하며, 급수위생에 더욱 효과적이며, 니플급수기가 대표적이다(표3).육계용 니플급수기는 대량 급수니플과 중간 급수니플 2종류가 있다. 대량 급수니플은 분당 80~90㎖의 급수량을 공급하며 육계의 빠른 성장과 급수를 위해 니플 끝 에 단추(bead)를 달았고 밑에 드립 컵(drip cup)을 설치했다. 중간 급수니플은 수압을 좀 낮추어 분당 50∼60㎖를 공급하며 드립 컵은 달지 않는다. 니플관리를 잘못하면 육계에서는 가끔 음수량을 부족하게 하여 성장 저하를 초래하므로 유의한다.니플은 수직형과 360°형이 있다. 수직형은 밑에서 수 직으로 밀어야만 물이 내려오고, 후에 개발된 360°형은 니플 끝의 어느 방향에서 건드려도 물이 나오게 되어있다.육추용과 육용계용으로 적합하다(그림3).니플에 이물질이 끼이면 물이 줄줄 새어 멈추지 않으 므로 반드시 필터(여과기)를 요소요소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채란계에서는 니플 파이프 수압을 너무 높이면 닭이 니플을 건드리기만 해도 물이 많이 분출되어 음수는 용이하나 흘리는 물이 많고 계분이 더욱 질다. 그러나 수압이 너무 낮으면 계분상태는 좋아지나 난중은 0.5g정 도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니플파이프는 앞과 뒤가 수평을 유지하게 설치한다. 노계 도태 후 겨울 동파에 유의한다. 니플 한개 당 육 계와 산란계 수수는 12수(대량급수)~10수(중간급수)를 배정하고 니플의 높이는 닭이 발바닥을 바닥에 붙인 상태에서 목을 늘려 먹을 수 있는 위치가 좋다.급수기의 위치는 닭이 사료를 먹고 3m 이내의 위치 에 있는 것이 좋으며 특히 평사에서는 산란상 전면 상부 에 설치하여 난상이용을 유도한다(그림4). 폐쇄급수기는 개방종형 급수기보다 세균오염이 적고 물 낭비도 적으며 물론 매일 급수기를 청소해줄 필요도 없다. 그러나 수량 계의 음수량을 매주 체크하여야 안전하다. (5) 농장 급수시스템 1) 수원(水源)개발l 지하 30∼40m 깊이의 물은 지표수이므로 사용하지 않고 80m 이하의 지하수를 가급적 사용한다.l 수원개발은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1일 용수량 100톤 미만은 신고만으로 가능하고 그 이상은 지하 수 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l 수원개발 후에는 수질을 검사하여, 양계용 적합여부 를 확인한다. 수중모터 관리 요령을 개발회사로부터 확인한다.l 수원개발에 실패하여 사용하지 않는 폐공은 오수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한다(그림8). 2) 대형 물탱크의 설치l 50만수 농장의 1일 용수량은 100톤, 10만수는 20 톤 이상이다. 혹서기 때에는 3배까지 음수량이 증가 할 수 있다.l 농장 물탱크의 용량은 너무 클 필요는 없다. 대개 전체 1일 용수량의 1/2량이면 된다. 요즘에는 정전이 적으므로 각 계사 내에 물탱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l 물탱크의 위치가 계 사 최상단 케이지 보다 낮으면 물탱크 에서 나오는 배관에 가압펌프를 설치한 다. 가압펌프 전에 는 모래나 흙을 걸 러내는 스트레이너 를 설치한다.l 계사로 가는 수도관 은 얼지 않도록 단 열재로 피복하여 지 하 70cm 이하에 매 설한다. 파이프의 굵 기는 계사 규모에 따 라 다르다(그림5). 3) 계사내 급수배관도l 계사 건축시 최소 30mm 직경의 엑셀 파이프를 계사 안으 로 시설하여 지상 1.5m 높이까지 뽑 아 놓는다.l 계사 벽에 조립된 급수시스템(솔레노 이드 밸브, 스트레 이너, 급수 필터, 수 량계, 음수 투약기) 을 설치한 후 천정 으로 유도하고, 천 정 배관에서 각 케 이지 열, 각단의 압 력조절기와 각단 물 탱크에 연결시켜 준 다(그림6).l 케이지 각 단에는 4각 니플 파이프와 물 받침이 있고 계사 끝에 물높이를 알 수 있는 상행 투명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l 각 단 니플 파이프 맨 끝에는 플러싱(flushing)용 엔드파이프가 연결되어, 맨 앞에서 고압수로 불어 낸 물이 계사 밖으로 자동 배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l 니플 파이프는 좌우 케이지 중심부에 위치하며 70cm 폭 산란 케이지 한 칸에 2개(좌우 칸막이에 하나씩)를 설치한다.l 육추케이지 한칸(폭 100cm Å~ 깊이 60cm)에는 약 20수가 사육되는데, 니플급수기 4개가 장착된다.l 급수필터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물 흐름이 정체 될 수 있으므로 압력 게이지를 매일 점검 한다. 4) 급수 관리 보조 장치l 물 부족시 케이지 상단 부분에 물이 부족할 수 있다. 물 배관에 단수가 되면 경보가 울리게 할 수 있다.l 수량계와 사무실 컴퓨터를 연결하여 계사 내 음수량을 컴퓨터에서 알 수 있게 한다.l 플러싱을 위해, 또는 에어컴프레서용 에어건을 꽂아 넣을 수 있는 장치를 케이지 열 앞에 분기하여 시설 할 수 있다(그림7). (6) 급수 관리 1) 초생추의 탈수증(dehydration) 폐사l 초생추 첫 물은 사료보다 3시간 먼저 준다. 가급적 빨리 음수 시킨다.l 모든 병아리는 동시에 부화되지 않는다. 더운 발생 기 내에서 먼저 부화된 초생추는 탈수증이 심해져 도착 즉시 물을 먹여야 한다. 부화장에서 난중이 불 균일한 종란 입란시, 먼저 나오는 초생추와 늦게 나오는 초생추의 간격이 24시간이 된다. 부화 후 감별, 선별, MD 백신접종, ND 백신접종, 보관 운송에 12∼36시간이 소요된다.l 육추실 준비 부족—육추 저온, 보조물통 부족, 급수 기를 밝게 점등하지 않는 잘못, 급수기의 위치 잘못, 높이 부적절 등은 탈수증을 증가시킨다(그림9). l 첫 15시간 동안 8% 설탕물을 공급하는 것이 폐사 감소에 좋고, 너무 쓴 항생제를 많이 주지 말 것.l 육추기에서 뛰쳐나온 병아리는 바로 잡아넣어 물을 먹게 해주지 않으면 폐사가 증가한다.l 병아리 도착 전 육추실 급수기에 물을 24시간 이상 채워두지 않는다. 세균증식 우려. 2) 육성기 급수관리l 농장 원수(原水)는 6개월에 한 번씩 수질 검사를 한 다. 광물질량, 염도가 많으면 설사, 난각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광물질이 너무 많으면 정수 장치를 설 치한다.l 광물질 함량이 높은 물을 사용하여 생독백신을 접종 할 때에는 물 1ℓ당 2g의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사 용하면 바이러스의 타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l 니플 급수 사용시 수압관리가 중요하다. 니플 파이 프라인은 수평을 이루게 하고, 라인 맨 끝의 니플을 손으로 건드려 보아 물이 잘 나오는 상태에서 수압 을 유지시킨다. 라인 끝에 투명 수압확인 파이프를 설치하여 니플라인보다 10cm 이상의 수위를 유지 하게 한다.l 수압이 너무 높아 니플을 건드리기만 해도 물이 분 출되지 않게 주의한다.l 음수량을 매일 측정하고 사료섭취량과 비교한다. 계 분이 질어서 쳐내는데 어렵지 않는 한 많은 물을 먹게 해 준다.(7) 음수량 제한계분의 수분함량 감소, 소화율의 향상, 연변으로 인한 오란 발생을 조절하기 위해 음수량과 음수시간의 제한이 필요하다.먼저 계분의 수분함량을 조사한다. 음수량대 사료섭취량비가 1.8을 넘지 않는 것이 좋으나 계사 기온이 너무 높을 때는 음수량을 증가 시켜주어야 한다. 설사를 하는 닭에서는 음수량 제한을 할 수 없으며 생균제제를 투여한다. 급수량 제한과 급수시간의 이동은 갑자기 하지 말고 서서히 한다.
1) 40주령 갈색 산란계 급수제한의 예04:30∼07:00 / 2시간 30분간 급수07:00∼12:30 / 급수 없음, 자동 잠금12:30∼17:00 / 4시간 30분간 급수 이후 잠금 설명 : 총 급수시간은 7시간 이하로 줄이지 않는다. 절수는 수도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치하여 컴퓨 터와 연결하여 자동 개폐를 실시한다. 대개 닭에게 사료를 주는 시간에 급수도 하게 한다. 급수시간은 육성기부터 습관을 들여 주면 좋다. 2) 오후 급여, 오후 급수시의 급수제한깨끗한 계란생산을 위하여, 점등을 02시 정도로 일찍 시작하여 산란시각을 앞당기고, 반대로 사료급여는 오후 시간대에 1일량의 2/3를 급여하고 오후시간대에 충분급수 함으로써 알 낳는 시간과 계분 배설시간을 분리시키는 사양관리법을 택할 수 있다. 이때 오전 음수를 제한 하기 위하여, 수도관을 열고 닫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 치, 컴퓨터에 연결하여 명령하는 장치를 한다. 참고로 음수, 단수, 점등, 사료급여 시각을 예시한다. 그림10에 의하면 40주령 이후 산란계에게 음수제한을 시키려면, 06:30∼16:30까지 급수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매주 15분씩 늦게 급수를 해 나감으로써 음수량을 제한시킨 다. 최소 1일 7시간 급수해야 하며, 그 이전이라도 사료 섭취량이 줄면 음수제한을 중지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