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강기능식품들의 구매대행을 위해 몇몇 사이트들을 보다보면 못알아보는 용어들이 꽤 나온다
물론 영어실력이 부족한 것도 맞지만 한글로 번역시켜놓고 봐도 뭔말인지 모르는 용어들이라 TT
이래서 문화권이 다른 언어를 공부하는데에는 다양한 제도를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곤하는데
앞으로 틈나는대로 알게되는 용어들은 따로 정리를 해가면서 찾아볼 생각이다 ^^
lb ??? 뭘까요 ^^;
파운드(pound, lb)는
미국 · 미얀마 · 라이베리아 등에서 쓰는 질량의 단위이다.
1 lb = 0.45359237 kg에 해당한다
punch
는 주먹인데 웬 식음료 등에서 나오나 ????
Caplet
캐플렛은 타원형의 정제된 알약을 의미합니다.
200 Coated Caplets 코팅 정제 200 정 이라는 뜻입니다.
이참에 약들을 모양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지도 알아봅시다^^

타블렛(TABLET) : 흔히 말하는 일반적인 알약

캡렛(CAPLET) : 타블렛 보다 작은 알약

EFFERVESCENT 타블렛 : 물에 넣으면 기포가 나와서 스스로 녹는 타블렛 (예 발포 비타민)

멜트렛(MELTLET) : 혀에서 바로 녹는 알약

소프트젤(SOFTGEL/GELCAP) : 말랑말랑한 젤라틴으로 코팅이 된 약

캡슐(CAPSULE) : 젤라틴 캡슐 안에 분말이 들어 있는 약
OZ ????
Ounce 도량형 단위는 oz로 표기합니다.
고체의 무게 또는 액체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 대략 30그램(g) 정도 된다.
영어 발음을 IPA로 표기하면 /aʊns/이고, 굳이 한글로 음차하면 [아운스]에 가깝다.
미국과 여타 서구 국가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래서 액체상품중에는 이런 표현도 잘 나옵니다.
fl oz
Add 8 fl oz water.
물 8액량 온스를 첨가하라는 뜻입니다.
온스 개념
한국에서는 금과 같은 귀금속의 중량 단위로 트로이온스를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골드만과 같은 국제적인 금 시세는 온스 단위를 사용합니다.
온스는 무게와 액체의 부피 단위로 영어 표기는 'oz'로 나타냅니다.
1온스 무게, 1온스는 몇그램인가?
lozenge
1 마름모꼴 2 (약용 효과가 있는, 입에서 녹여 먹는 마름모꼴) 캔디[사탕]
throat/cough lozenges
목/기침 치료용 캔디
- 00’형’이라는 것은
약의 제형, 즉 약의 형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 그럼 서방형 정제라는 것은 어떤 형태를 의미하는 걸까요?
고전적인 제형은 IR(immediate-release)로 약 복용 후 10분 내로 위에서 분해되고 소장에서 흡수됩니다. 그러나 서방형 정제는 약물을 복용 후 약물이 몸속에서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방출되도록 설계된 제형을 의미합니다. 약품명 뒤에 SR, ER, CR 등을 붙여서 서방형 제제임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 그럼 왜 서방형 정제를 사용할까요? 서방형 정제의 특징을 알아봅시다.
1) 치료용량의 약물이 보통제제보다 장시간에 걸쳐 방출됨.
2) 치료혈중농도에 도달 후 일정시간 지속됨.
2) 보통제제보다 투여횟수가 적음.
3) 생체반응이 균일하고 부작용이 적음.
# 서방형 정제를 뜻하는 약자에 대한 이해(*1)
1) SR(sustained-release preparation or slow-release preparation)
- 일반적인 서방형 정제로 치료용량의 약물이 장시간에 걸쳐 방출되도록 한 제제.
2) CR(controlled-release preparation)
- 약물이 치료혈중농도에 도달하여 원하시는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 제제. 방출제어형 제제라고 부르기도 함.
3) ER(XR, XL)(extended-release preparation), PR(prolonged-release), RA(repeat action)
- 약물이 복용 후 초회 방출된 후 일정기간 간격을 두고 2회 or 3회 방출되도록 만든 제제. 주로 외층과 내층 또는 2개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별 용해시간의 차이로 방출이 조절되는 제형 임.
ex) 타이레놀 ER
4) 기타: OR, GR 등이 있음.
mcg : microgram. One millionth of one gram. (1,000 mcg = 1mg = 1,000 μg )
mg : milligram. One thousandth of one gram. (1,000 mg = 1g)
이건 상식이 있으면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모양상 ug의 u는 마이크로의 약자임 mcg로도 쓰임
“µ”는 “마이크로(micro)”의 약자로 사용되는 과학 기호로 그리스 문자 'mu'를 뜻합니다. 1마이크로그램은 1,000분의 1 밀리그램 또는 1,000,000분의 1 그램과 같습니다. 때로는 'mcg'가 마이크로그램의 약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IU (International units) 는
주로 의약품, 백신, 비타민 등의 계량단위 입니다.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D 등 영양소 종류별로 환산단위가 달라서 (RAE : Retinol Activity Equivalent. (비타민A 인 레티놀의 표시단위)
mcg, mg 로 환산하는 것이 혼란스럽습니다.
그래서 2016년 5월 미국의 FDA는 IU 보다는 mcg 와 mg 를 사용할것을 권고 했고,
2019-2020년에는 mcg와 mg 만 사용하거나, 병용표기할 것을 의무화했습니다. ^^
쉽지는 않지만 예들을 볼까요? 왜 통일시키려고 하는지 알겠더라구요^^
비타민A(레티놀) : 5000 IU * 0.3 = 1500 mcg
- 비타민A(베타카로틴) : 5000 IU * 0.6 = 3000 mcg
- 비타민D : 400 IU * 0.025 = 10 mcg
- 비타민E (디 알파 토코페롤) : 30 IU * 0.67 = 20.1 mg
CFU
미생물학분야에서 사용하고 건강기능식품에서는 주로 유산균 함량표시에 잘 나옵니다.
집락형성단위(集落形成單位, Colony-forming unit, CFU)라는 것은 눈에 보이는 박테리아나 균류의 집락 숫자를 확인하고 희석배수와 집락수를 계산하여 단위 부피 또는 무게 당 집락수(군집)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생활속 지혜 : 우리 주변에서 한번쯤 확인해볼 만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나들이 코스 암사동 신석기유적지 (0) | 2023.06.13 |
---|---|
각종 건강(기능) 식품들중 식약청에 단속당하는 부당허위광고 들 (0) | 2023.06.06 |
서울에서 가장 예쁜 축제 2023 서울장미측제 다시꽃중랑 (0) | 2023.05.16 |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오픈마켓 전자상거래(07) 수입금지성분 목록 (1) | 2023.05.14 |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오픈마켓 전자상거래(06) : 해외구매대행시 각종 비용들, 특히 부가가치세 (0) | 2023.05.13 |